[황대박 선교사] 섬김의 삶
섬길 줄 아는 사람만이 다스릴 자격이 있습니다

본문
미국의 찰스 콜슨(Charles Colson)은 미국 의회 역사상 가장 감동적인 순간에 대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그 순간은 인도 캘커타의 고인이 되신 테레사 수녀가 미국 국회를 방문하여 연설했던 때입니다.
미국 사람들은 대부분 연설할 때 연설자에게 박수를 아끼지 않는다고 하는데, 이상하게도 테레사 수녀가 연설을 마치자 그 누구도 박수를 치지 않더랍니다. 오히려 침묵만이 감돌았습니다.
그들은 숨막히는 감동과 전율이 그들의 가슴과 목을 누르고 있었기 때문에 박수를 칠 여유조차 없었던 것입니다. 그 이유는 테레사 수녀가 마지막에 던진 한 마디의 말 때문 이었습니다.
"섬길 줄 아는 사람만이 다스릴 자격이 있습니다."
테레사(1910∼1997)는 유고슬라비아에서 태어났습니다. 시의원을 지낸 아버지와 독실한 신자인 어머니 사이에서 1남2녀 중 막내로, 부모의 사랑을 한 몸에 받고 자랐습니다.
아버지는 유명한 건축업자였고 테레사는 남부러울 것 없이 풍요롭게 성장했습니다.그러나 소녀가 일곱살 되던 해 아버지는 의문의 변사를 당합니다.
아버지의 동업자들이 전 재산을 빼돌려 가족들은 졸지에 거리에 나앉고 말았습니다.
테레사는 그때 비로소 자신의 주위에 비참한 사람이 너무 많다는 것을 깨달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어머니에게 “어머니, 저는 평생동안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일하겠어요”라고 말합니다. 테레사는 가족을 떠나 로레타 수녀원에 들어갔습니다.
1929년 아일랜드 로레타 수도원 소속으로 인도 성마리아 여학교에 부임했습니다. 그러나 그녀는 창문 너머로 거리의 한센병 환자들을 계속해서 주시했습니다. “나는 그들의 눈에서 두려움을 보았습니다.
적절한 의료 혜택을 받아본 적이 없는 두려움, 사랑을 받아본 적이 없는 두려움을 보았습니다”고 그녀는 말했습니다. 그녀는 그러한 두려움을 마음속으로부터 떨쳐버릴 수 없었습니다.
그녀는 마침내 결심했고 48년 수녀원이라는 안전지대에서 벗어나 거리로 나왔습니다. 그리고 52년 '죽어가는 사람의 집'을 만든 데 이어 '버려진 아이들의 집', '나환자의 집' 등을 열었습니다.
그녀는 빈자들을 위한 ‘사랑의 선교회’를 만들고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약 15만명의 한센병 환자들에게 의료혜택을 주고 헌신적인 사랑을 베풀었습니다.
그는 일생을 이처럼 가난한 자, 의지할 곳 없이 죽어가는 자, 한센씨병 환자 사이에서 그들과 다름없이 빈곤하게 지냈습니다. 가난한 사람처럼 살지 않으면서 그들을 이해할 수는 없다는 주장이었습니다.
여기저기 수선한 옷 세 벌과 낡은 신발, 십자가와 묵주가 그가 가진 전부였습니다. 그녀를 만난 사람들이 모두 '거친 손에 터진 발, 주름투성이의 자그마한 할머니'로 기억하는 것도 무리가 아닌 셈입니다.
여름엔 시멘트 바닥, 겨울엔 거기에 얇은 천 하나 깔고 지내면서 환자와 장애아를 돌보는 그에게 누군가 돈과 지위를 갖고 편안하게 사는 사람들이 부럽지 않느냐고 묻자 대답은 간단했습니다.
"허리를 굽히고 섬기는 사람에겐 위를 쳐다볼 시간이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테레사 수녀가 남긴 유언은 짧지만 감동적입니다.
"서로 사랑하십시오. 진정한 사랑은 이것 저것 재지않습니다.
그저 줄 뿐입니다."
샬롬!! ~~
우리도 주님을 본받아 섬김으로 오늘 하루를 열어 가시기를 기도드립니다.

-
[말씀 묵상] 예후의 기름부음, 심판의 시작 (열왕기하 9장 1-13절)2024-09-18
-
[말씀 묵상] 나 하나쯤이야..2024-09-18
-
[말씀 묵상] 누구와 연합할 것인가 (열왕기하 8장 16-29절)2024-09-17
-
[말씀 묵상] 추석 덕담 모음2024-09-17
-
[말씀 묵상] 우연이 아닌 섭리 (열왕기하 8장 1-15절)2024-09-16
-
[말씀 묵상] 좋은 동반자2024-09-16
-
[말씀 묵상] 사마리아의 참상의 반응 (열왕기하 6장 24 - 7장 2절)2024-09-14
-
[말씀 묵상] 분노의 독소2024-09-14
최신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