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는 습관 > 말씀 묵상

본문 바로가기

말씀 묵상

[황대박 선교사]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는 습관

자기 자신을 다스리지 못하는 나약한 의지 때문일 것입니다.

본문

"그런즉 너희가 어떻게 행할지를 자세히 주의하여 지혜 없는 자 같이 하지 말고 오직 지혜 있는 자 같이 하여 세월을 아끼라 때가 악하니라" [에베소서5:15-16]

 

사람의 병 중에서 가장 무서운 병은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는 습관' 입니다.

오늘 해야 할 일을 내일로 미루고, 올해 해야 할 일을 내년으로 미루고, 금생에 할 일을 내생으로 미루는 것! 이것이야 말로 사람들의 "어리석음의 극치"가 아닐런지요?

 

히말라야의 설산에는 ‘야명조(夜鳴鳥)’라는 새가 있는데 새 이름이 ‘밤에만 집을 짓겠다고 우는 새’ 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밤에 우는 새는 '님이 그리워 운다' 고 하는데, 히말라야 야명조의 울음소리는 히말라야 현지 사람들 귀에 ‘내일은 꼭 집을 지을 거야' '내일은 꼭 집을 지을 거야' '내일은 정말 꼭 집을 지을거야...’ 라고 하는 소리로 들린다고 합니다.

이 새는 밤이 되면 혹독한 추위를 이기지 못해 "내일은 꼭 집을 지어야겠다"고 다짐합니다. 

그러다가 날이 밝아 햇살이 비치면 밤새 얼었던 몸을 녹이며 어제 저녁의 다짐을 까맣게 잊고 다시 하루 종일 놀면서 집을 짓지 않습니다. 

또 다시 밤이 오면 낮의 일을 후회하며 "내일은 꼭 집을 짓겠다"고 다짐하면서 또 울기 시작합니다. 

이 '야명조' 는 이같은 결심과 후회를 반복하면서, 오늘도 집 없이 추위에 떨며 울고 있습니다. 집을 짓는 것을 계속 미루면서 말입니다.

 

사람들은 곤경에 처할 때면, 이 상황만 극복된다면 열심히 살겠다고 결심들을 합니다. 그러나 그 일이 해결되고 나면 이내 어려웠던 상황을 잊어버리고, 어리석음을 반복합니다. 

현재의 일을 다음으로 미루는 누적 지수를 환산해 보면, 우리 인생의 절반이 되고도 남지 않을까요? 

우리 삶에서 똑같은 고통을 2번, 3번 반복해 겪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을 다스리지 못하는 나약한 의지 때문일 것입니다.

우리들이 ‘다음부터 잘해야지!’ 하면서 오늘의 일을 내일로 미루는 행동은 히말라야 설산의 '야명조' 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야명조' 처럼 한낮의 따사로운 햇살에 취해, 길고 긴 추위가 몰아닥칠 겨울밤을 잊고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요?

 

샬롬~~!!
항상 내일을 위해 오늘에 최선을 다하며, 그리스도인답게 영원을 준비하는 지혜로운 삶으로 후회없는 행복한 인생을 만들며 의미있는 하루가 되시기를 기도드립니다.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