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미야 18:1-12절 묵성 > 말씀 묵상

본문 바로가기

말씀 묵상

[심형권 목사] 예레미야 18:1-12절 묵성

그들은 자신들이 진흙과 같은 존재라는 것을 망각했습니다.

본문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서 한 토기장이의 집으로 예레미야를 이끄셔서 거기에서 남유다를 향한 말씀을 주시는 내용입니다. 거기에서 예레미야는 진흙으로 토기를 굽고 있는 한 토기장이가 그 진흙이 그의 손에서 터져 쓸모 없게 되자 그 흙으로 자기가 원하는 다른 토기를 만드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 때 하나님의 신탁이 예레미야에게 전해집니다.

 

터진 진흙과 같이 남 유다는 그들의 죄악으로 쓸모없는 상태가 되었고 하나님은 그들을 다시 빚으셔서 새롭게 만드실 수 있음을 말씀하십니다. 진흙의 운명이 토기장이에게 있듯이, 우리 인생의 운명은 하나님의 손에 있다는 것입니다(6절).  

 

‘나는 하나님의 손에 있는 진흙입니다.’ 이것이 우리의 고백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나는 하나님의 손에 있는 찌그러진 진흙입니다’라고 고백할 수 있어야 합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자유 의지를 ‘하나님 없는 삶’이 가능한 것으로 착각하고 아버지와 상관 없는 먼 나라로 떠났다가 돌아온 탕자처럼, 죄성으로 망가진 진흙과도 같은 존재임을 인정해야 합니다. 그래야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내가 진흙입니다’라는 고백은 ‘하나님이 저를 만드시는 토기장이, 나의 주인, 나의 주권자입니다’라고 고백하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의 상처와 처절한 인생의 진정한 회복은 하나님의 강하신 손 아래에서 그 분에 손에 의해 빚어질 때 비로서 시작됩니다. 나의 지혜와 힘으로 빚어진 인생은 모래 위의 집과 같습니다. 시련의 풍랑이 오면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립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손에 맡겨져 빚어지는 인생은 반석 위에 지은 집과 같이 든든하게 세워져 갈 것입니다. 이 사실을 망각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런데 이 말씀을 하실 때 8, 10절에 ‘뜻을 돌이키신다’는 말씀이 강조됩니다. 8절에는 악한 길에서 돌아오면 내리기로 했던 재앙에 대하여 뜻을 돌이키신다고 하시고, 10절에서는 하나님의 목소리를 청종하지 않으면, 주시기로 약속한 복에 대하여 뜻을 돌이키신다고 하십니다. 하나님이 우유부단한 분이라는 뜻이 아닙니다. 조건부 사랑을 말씀하시는 것도 아닙니다. 돌아와 풍성한 은혜를 누리기를 원하시는 아버지의 마음을 강조하는 수사적 표현입니다.

 

그런데 남유다는 하나님께서 주시기를 원하셨던 복을 돌이키게 하는 선택을 하고 이렇게 항변합니다: “이는 헛되니 우리는 우리의 계획 대로 행하며 우리는 각기 악한 마음이 완악한 대로 행하리라.”

 

‘헛되다’는 단어는 ‘실망하다’는 뜻을 가진 단어입니다. 하나님의 이 경계의 말씀이 자신들이 기대하는 답이 아니어서 실망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이 자신들의 성에 차지 않을 뿐 아니라 아무 의미가 없다고 폄하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런 행위가 ‘악하고 완악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자신들의 행위가 옳지 않다는 것을 모르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고집스럽게 자신들의 입장을 고수하고 자신들이 원하는 답을 가지고 오라고 하나님을 무시하는 것입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진흙과 같은 존재라는 것을 망각했습니다. 스스로 토기장이로 착각했습니다. 진흙이 토기장이 행세를 한 것입니다. 그리고 그 마지막은 예루살렘의 패망이었던 것입니다.

 

하나님이 주관하십니다. 뜻을 이루시는 분도, 뜻을 돌이키시는 분도, 또 회전하는 그림자도 없으신 분도, 오직 우리 하나님 한 분 뿐이십니다. 따라서 우리의 반응은 오직 순종이어야 합니다. 그 길 외에 사는 길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능하신 손 아래에서 겸손하라 때가 되면 너희를 높이시리라”(베드로전서 5:6절). 하나님을 대적하는 완악한 마음을 버리고 하나님의 지휘를 따라 아름답게 우리의 삶을 연주하는 이 땅의 나그네 여정길이기를 소망합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손 안에 있는 진흙입니다.

마라나타!!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