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대박 선교사] 지금 이 순간
지금 이 순간을 충실하게 산다는 것은 어떻게 사는 것일까?

본문
영하 50도를 넘나드는 추운 겨울날, 도스토예프스키는 사형 집행장으로 끌려갔습니다.
현장에는 기둥이 세워져 있고, 한 기둥에 세 사람씩 묶여 있는데 도스토예프스키는 세번째 기둥 가운데에 묶여 있었습니다.
사형 집행 예정 시간을 생각하니 이제 5분이 남아 있었습니다.
그는 살아 있는 5분을 어떻게 쓸까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형장에 끌려온 사람에게 주어지는 마지막 인사를 하는데 3분을 쓰고, 오늘까지 살아온 날을 되돌아보는 데에 1분을 쓰고, 남은 1분을 지금까지 살아온 땅과 눈으로 볼수 있는 자연을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쳐다보는데 쓰기로 했습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눈물이 가득한 눈으로 옆에 묶여 있는 동료에게 인사를 하고, 가족을 생각하며 2분을 썼습니다. 그리고 자신에 대해서 생각했습니다. 이제 곧 자신이 어디로 갈 것인가를 생각하니 눈앞이 캄캄했습니다.
28년 동안 귀중한 시간을 아껴 쓰지 못한 것이 후회 스러웠습니다.
'만약 다시 한번 살 수 있다면 매 순간을 값지게 살 텐데…….' 하는 생각이 절실했습니다.
그때 사형 집행관들이 탄알을 장전하는 소리가 들렸고, 이와 동시에 죽음에 대한 공포가 밀려왔습니다.
그런데 바로 그 순간 사형장이 떠들썩하더니 한 병사가 흰 손수건을 흔들며 달려왔습니다. 도스토예프스키를 방면하라는 황제의 특사였습니다.
천만다행으로 목숨을 건진 도스토예프스키는 사형 전 마지막 5분을 결코 잊지 않겠다고 다짐했습니다. 그때부터 그는 항상 시간을 금쪽같이 소중히 아끼며 매 순간을 충실하게 살았습니다.
<죽기 전에, 더 늦기 전에 꼭 해야 할 42가지(이택호 저)>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저자는 사는 동안 언제 어떤 일이 닥칠지 알 수 없는 것이 우리의 삶이기에 먼 미래의 계획을 이루기 위해서 아등바등 하기보다는 주어진 오늘을 어떻게 후회 없이 보람 있게 보낼지를 고민하는 편이 더 낫다고 말합니다.
그러면서 “지금 이 순간을 충실하게 산다는 것은 어떻게 사는 것일까?”라는 질문을 던지며 먼저 충실하게 살기 위해서는 '지금'을 의식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지금 이 순간은 지나가면 다시 오지 않는 귀중한 시간이며, 삶에서 보람 있는 일을 해야 하는 귀중한 시간임을 인식해야 합니다.
지금 하고 있는 '일'이 가장 중요한 일임을 인식하고 현재하고 있는 일에 열과 성의를 다해야 합니다.
그렇게 살 때 인생의 마지막 순간을 맞이하더라도 후회하지 않고 '열심히 충실하게 살았다'는 자부심을 갖게 됩니다.
샬롬 ~!!
오늘도 나에게 주어진 시간과 사명을 후회하지 않는 날 되기를 간절히 기도드립니다.

-
[말씀 묵상] 예후의 기름부음, 심판의 시작 (열왕기하 9장 1-13절)2024-09-18
-
[말씀 묵상] 나 하나쯤이야..2024-09-18
-
[말씀 묵상] 누구와 연합할 것인가 (열왕기하 8장 16-29절)2024-09-17
-
[말씀 묵상] 추석 덕담 모음2024-09-17
-
[말씀 묵상] 우연이 아닌 섭리 (열왕기하 8장 1-15절)2024-09-16
-
[말씀 묵상] 좋은 동반자2024-09-16
-
[말씀 묵상] 사마리아의 참상의 반응 (열왕기하 6장 24 - 7장 2절)2024-09-14
-
[말씀 묵상] 분노의 독소2024-09-14
최신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