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대박 선교사] 희망
희망은 정체된 상태가 아니고 역동적인 에너지입니다.

본문
사람들은 소망을 ‘소원하는 것’, 즉 “무엇인가 일어나기를 바라는 것”으로 이해합니다. 그러나 성경에서 말하는 소망은 그런 의미가 아닙니다.
성경의 소망은 “확신에 찬 기대”를 뜻합니다. 소망이란 불확실하고 알 수 없는 것에 대한 "확고한 자신감"을 말합니다.
철학자이며 교육학자인 '존 듀이' 가 90번째 생일을 맞았을 때 한 청년 의사가 그에게 “어떻게 하면 당신처럼 위대한 생애를 영위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질문을 했습니다.
그때 그가 “산에 오르게”라고 하자 청년은 “산에 올라 무엇을 합니까?”라고 다시 물었습니다. 그에게 존 듀이는 “다시 올라갈 다른 산을 보기 위해서라네.”라고 말하며“ 그러다가 더 이상 산에 오를 흥미가 없어지면 자네는 죽을 날이 가까이 온 거야”라고 했습니다.
인생을 살아가는 데 희망은 참으로 중요합니다. 심리학자로 희망에 대하여 체계화를 시도한 미국 캔자스 대학의 심리학자였던 릭 스나이더(Rick Snyder)는 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희망의 크기와 그 전의 수능(SAT) 점수, 그리고 대학 생활에서의 학점, 졸업 후 성취 정도 등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학생들이 대학 생활에서 좋은 학점을 받고 잘 적응하는지를 예측하는 것은 수능 점수보다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희망의 크기였다고 합니다.
대학 시절 학점이 높은 사람보다는 희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졸업 후 더 많이 성취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희망의 크기가 목표 설정과 성취, 노력에 중대한 영향력을 끼칩입니다. 희망은 목표 성취를 위한 긍정적인 기대입니다.
희망은 정체된 상태가 아니고 역동적인 에너지입니다. 어떤 목표에 대한 기대와 노력을 의미합니다.
스나이더는 세 가지 구성요소가 희망에 작용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첫째가 목표입니다. 목표는 인지적인 요인으로 곧 희망적 사고로 이어집니다.
둘째는 경로 사고입니다. 희망에 도달하는 길들을 생각하는 것입니다. 일이 되도록 내적 메시지를 자신에게 확고히 하는 것입니다.
셋째 요소는 주도적 사고입니다. 자신이 성공할 것이라고 믿고 즉각 실천하는 것입니다.
예수님을 구세주로 믿고 있는 하나님의 자녀들은 어떤 경우에도 희망을 죽이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스도인에 있어서는 희망은 죽음보다 강합니다. 희망의 씨앗을 품으면 언젠가 꽃과 열매가 맺히게 될 것입니다.
샬롬 ~~!!
오늘 하루도 믿음의 소망을 가지고 하나님께 올려 드리는 특별한 날이 되시기를 기도드립니다.

-
[말씀 묵상] 예후의 기름부음, 심판의 시작 (열왕기하 9장 1-13절)2024-09-18
-
[말씀 묵상] 나 하나쯤이야..2024-09-18
-
[말씀 묵상] 누구와 연합할 것인가 (열왕기하 8장 16-29절)2024-09-17
-
[말씀 묵상] 추석 덕담 모음2024-09-17
-
[말씀 묵상] 우연이 아닌 섭리 (열왕기하 8장 1-15절)2024-09-16
-
[말씀 묵상] 좋은 동반자2024-09-16
-
[말씀 묵상] 사마리아의 참상의 반응 (열왕기하 6장 24 - 7장 2절)2024-09-14
-
[말씀 묵상] 분노의 독소2024-09-14
최신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0